본문 바로가기
자료

민속, 우리의 통과의례 3 - 관례와 계례, 혼례

by 나와봄 2023. 3. 13.
728x90
   관례, 계례   -  어른이 되었음을 축복하는 성년례

조선시대,
아이가 자라 열다섯 살이 넘으면 좋은 날을 잡아 성년식을 거행하여 조상님께 어른이 되었음을 알립니다.
아이 스스로가 어른이 되었다는 사실을 깨우치게 하고, 관례를 치른 후에는 마을 어른들도 어른 취급을 해주었습니다.
 
 
성년의례, 남자 - 관례
남자는 상투를 틀어 관(관례)을 쓰고 어른의 옷을 입으며, 술 마시는 법을 배웠습니다.

공부할 때 입는 옷 - 남자는 옷을 세 번 갈아입어요. 공부하는 유생이 입는 옷
외출복 - 성인이 되면 머리를 올려 상투를 틀고 갓을 쓰고 외출하지요.

 
성년의례, 여자 - 계례 
여자는 머리를 올려 쪽을 지고 비녀(계례)를 꽂았습니다.
보통 여자는 따로 날을 잡지 않고 혼례를 치르기 전날 관례를 치렀지요.

 
이때 성년이 되는 이에게 자(字)를 지어 주고, 사당에 나아가 “바른 어른이 되겠습니다.”하고 조상님께 고합니다.
이제 어른으로 행실을 바르게 하고,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져야겠지요.
전통사회의 성인식은 뭔가 엄숙하지요?
요즘 성인식의 모습은 어떤가요? 
좋은 우리 전통은 오래 이어지기를 개인적으로 바랍니다.^^
 
아! 일반 백성들의 성인식은 어떨까요?

일반 서민들의 관례 : 들돌 들기

남자는 저 돌을 들 수 있어야만 어른이 될 수 있었습니다. 만약 들 수 없는 약골이라면 어린 사람 취급을 당했겠지요?
 
 

   혼례   -   부부가 되는 약속
혼례식 - 납폐

어른이 된 처녀 총각은 혼인을 하고 평생 함께할 것을 약속합니다.
혼인할 때 수반 되는 모든 의례와 그 절차를 알아볼까요?
 

민속박물관에서 찍은 사진을 바탕으로 다시 편집했어요.

 

• 신부 쪽에서 혼인을 승낙할 때 보내는 허혼서

•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신랑의 생년월일 등의 사주를 적어서 보내는 사주단자

• 사주단자를 싸는 사주보

서로 양가 혼인을 약속하면,
정혼 성립의 증거로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예단과 함께 혼서지(납폐서)를 납폐함에 넣어 보냅니다.
신부집에서는 부부의 금슬이 찹쌀처럼 화합하라는 의미에서 붉은 팥찰시루떡을 쪄서 함을 맞이합니다. 
시루떡 위에 함을 올리고 신부아버지가 조상님께 절하며 고하는 의식을 치릅니다.
저는 아버지가 일찍 돌아가셔서 그랬는지 연유가 정확하게 기억나지 않는데, 집안 어르신 중에서 부부가 함께 장수하신 어르신이 이 의식을 치러주셨어요.

가운데 그림은 결국 제가 급하게 그렸습니다. 어떤 의미인지 이해가 되나요?

 
이제 혼례식을 치르기 위해 신랑이 신부집으로 행차하는 모습입니다.

친영(신랑이 신부 집 가는 모습)

신랑이 기럭아비를 앞세우고 신부 집 마당을 넘어섭니다. 신랑은 신부 어머니에게 나무 기러기를 전합니다.
 
대례 : 신랑이 혼인날 또는 그 전날 신부 집으로 행차하여 예식을 치르고 첫날밤을 보낸 다음 신부를 데려오는 과정.
 
혼례식은 신부집 마당에서 합니다.
우리나라는 정원이 보통 뒤에 있는 이유입니다. 앞마당에는 혼례식과 같은 잔치나 장례를 치를 때 이용하던 공간이기 때문이지요.
식은 오후에 치르기에 곧 밤이 됩니다.
그래서 새벽을 알리는 닭을 상에 올려 나쁜 기운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했을 수도 있고,
닭 벼슬(볏)과 연결지어 신랑이 벼슬에 오르기를 바라는 소망이 담겼을 수도 있어요.
 

- 교배(交拜) : 초례상 앞에서 신랑과 신부의 맞절. - 합근(合巹) : 신랑과 신부는 서로 술잔을 나누어요.
신부 - 혼례 복장, 출처 : 새색시 책, 박현정 저,초방책방 출판사 책
신랑 - 혼례 복장

혼례를 마친 새신랑과 신부는 신부 집에서 며칠을  보낸 후 시댁으로 갑니다.
신부가 시댁으로 들어가는 일을 '신행'이라고 하지요.

신부가 신행 때 타는 가마

신행 때 신부가 타는 가마는 '차'나무로 만들어요. 차나무는 뿌리를 깊게 내리는데 
신부도 시댁에서 뿌리를 깊게 내리고 살라는 의미를 담습니다.
오른쪽에 보이는 무서운 호랑이가죽? 저건 가마보입니다.
이걸로 저 가마를 덮습니다. 빨간색인 이유는 나쁜 기운을 막기 위함이고, 호랑이가 무서워서 나쁜 액귀는 얼씬도 못하겠죠?

신행 모습 (출처 : 나이살이 책, 고광삼 그림, 문학동네 출판사 )

 
 
신부가 시댁에 들어가  처음으로 드리는 인사를 폐백이라고 합니다.
이때 시댁 식구들이 자식을 많이 낳고 복되게 살기를 기원하며 새 며느리에게 대추와 밤을 던져주지요.
 
 
자, 공부도 했고, 이제 혼인도 했겠다. 수신제가치국평천하
출세하러 떠나볼까요?
https://i-soso-u.tistory.com/14

민속, 우리의 통과의례 4 - 출세하고, 풍류를 즐길 줄 아는 남자

진정한 공부란 무엇이며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공부를 해야 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출세 조선시대에는 과거시험에 합격해야 관직에 오를 수 있었고, 제대로 양반 대접을 받을 수 있었습

i-soso-u.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