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돼지호박(주키니 호박)을 다시 회수하는 일이 일어났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승인받지 않은 유전자 변형생물체(Living Modified Organism (LMO)) 종자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애호박이나 단호박은 아닙니다.
정부는 3일부터 다시 판매를 허용했는데요. 당연히 미승인 LMO 종자를 쓰지 않은 돼지호박이지요.
달리 표현하자면 승인 LMO 종자일 수도 있다는 거지요. LMO는 뭐지? 궁금하시지 않나요? 생소하지요? 그럼 GMO는 들어보셨나요?
이와 관련된 기사들을 보면 우리는 유전자 조작 식품을 안 먹고 사는 것처럼 들려요. 그러나 우리는 매일 먹고 있습니다. 물론 가려서 조심하고, 직접 재배하거나 안전한 먹을거리로 식탁을 채운다면 예외가 되겠지만, 외식이나 배달을 시켜서 먹는다면 본인도 모르게 GMO(LMO) 농산물이 첨가된 제품을 섭취한다는 겁니다.
LMO와 GMO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
한마디로 말한다면 둘 다 같습니다.
LMO나 GMO 모두 유전자조작 생물체입니다.
LMO라는 단어는 GMO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희석시키기 위해 몬산토 등의 GMO 개발기업, 친 GMO성향 학자 등이 여론몰이로 생성된 단어이지요. 그래서 우리는 뭔가 다른 건가? GMO보다 더 나은 건가? 혼란스럽습니다. 하지만 분명한 건 '유전자 조작 생물체'라는 겁니다.
GMO(LMO)는 무엇일까? |
유전자는 모양과 크기 색깔 등 생물체의 고유한 특성에 관한 정보를 담아 다음 세대에 전달하는 물질입니다.
전통 육종 방식은 방울토마토, 대추토마토 처럼 같은 종끼리 교배하는 방식이어서 인체에 해가 없습니다.
GMO(LMO)는 교배 불가능한 서로 다른 종의 유전자를 넣어서 변형시킵니다. 즉,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바꾸는 겁니다.
GMO를 만든 과학자나 다국적 기업들이 GMO 개발을 주장하면서 내세운 이유로 식량난 해결과 질병 예방이었습니다.
그러나 GMO는 '몬산토' 등의 기업이 GMO를 개발해서 상품화한 기업에게만 이익을 줍니다. 생산 농가는 지속적으로 GMO 개발 회사로부터 종자와 제초제를 사야해서 대기업에 종속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또한 GMO 제품은 저렴하기 때문에 수입해서 가공품을 생산하는 국내 기업도 이익을 취합니다. GMO 농산물을 생산하지 않은 소규모 농가는 판매 기회를 잃어 살기 힘들어지는 거죠.
세계에서 GMO(LMO)를 가장 많이 재배하는 나라는 미국이고, 우리나라에서 GMO 농산물을 많이 수입하는 나라는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입니다.
아래 콩 중에서 어떤 콩이 유전자 조작(변형) 콩일까요?
GMO(LMO) 농산물은 눈으로는 식별할 수 없습니다. 어느 콩이 유전자 조작(변형) 콩인지 우리는 모릅니다.
콩은 식용유, 콩나물, 과자, 맛살 등 육류 가공품, 이유식, 두부, 된장, 간장, 청국장, 두유 등에 주재료로 들어갑니다. GMO(LMO) 콩은 99% 이상이 콩기름 만드는 데 사용(2017.6.14 헬스조선 출처)됩니다. 그러나 콩기름을 구입할 때 성분표시를 아무리 살펴봐도 GMO 농산물이라는 표기는 없습니다. (아래 내용 '우리는 왜 GMO 농산물이 포함되어 있는지 알 수 없을까' 참고)
GMO, 얼마나 안전할까? |
GMO 제품을 '유전자 변형 생물체' 또는 '유전자 재조합 생명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반면에 반대입장에서는 '유전자 조작 생물체'라고 부르지요. 그렇다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곳은 왜 그럴까요? 당연히 GMO 회사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거나, 어떤 혜택을 누릴 거란 예측이 가능하지요?
GMO가 얼마나 안전한지 안전성 검사 기준은 자연산과 GMO 농산물의 겉모습, 영양 성분의 차이, 인체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지 등의 안전성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안전성 검사 기간이 90일밖에 안 됩니다. 실험쥐에게 90일 동안 실험하는 것이지요. 사람으로 친다면 청소년(청년?)기까지의 실험이라고나 할까요?
실제로 제초제를 실험 쥐에게 실험한 결과 종양이 보통의 사료를 먹일 때보다 2~3배 증가했다고 합니다.
GMO 제품을 개발할 때 항생제에 저항성을 지닌 유전자를 사용하기에 인체에 항생제 내성을 강화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GMO 식품을 많이 먹으면 기존의 항생제가 잘 듣지 않아 병에 걸렸을 때 고치기가 어렵게 됩니다.
또 GMO는 환경 파괴를 유발합니다. 제초제를 뿌릴 때 잡초는 죽이고 작물은 살아야 하지만, 잡초도 내성이 생겨 죽지 않아요. 벌레도 마찬가지로 살충제에 내성이 생겨 잘 죽지 않습니다. 그래서 더 많은 양의 제초제와 살충제를 써야합니다. 계속되면 환경이 파괴될 수밖에 없지요.
우리나라는 GMO 제품을 수입해서 많은 식품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GMO 제품을 재배하지는 않지만, 우리나라 여러지역에서 생산하는 농산물에서 GMO가 발견되었습니다. 콩, 옥수수, 목화, 캐놀라 등 정부가 허가한 GMO 품종이 수입되어 국내로 유통되는 과정에서 떨어졌거나, 꽃가루 등으로 퍼졌겠지요. 원하지 않아도 GMO 품종이 우리나라 곳곳에서 자랄 수 있어서 생태계 교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슈퍼 연어의 경우도 태풍이나 여러 조건으로 인해 방류되어 알을 낳는다면 바다 생태계도 위험해지겠지요?
수입된 GMO 농산물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무엇일까? |
감자도 GMO 제품을 수입한 적이 있었어요. 하지만 국내 생산량이 충분하고, 운송 등의 비용면에서 국내 생산 감자가 더 저렴해서 지금은 GMO 감자는 수입이 중단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농산물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할까요?
우리나라에서 자급률이 매우 낮아서 수입에 의존하는 농산물은 '콩'과 '옥수수'입니다. 2014년 콩 자급률은 11.3%이고, 옥수수는 0.8%밖에 안 된답니다. 또 우리나라에서 소비되는 '콩', '옥수수' 절반 이상이 'GMO' 제품입니다.
이렇게 수입된 GMO 제품의 콩과 옥수수는 식용유, 된장, 고추장, 간장, 과자, 튀김, 치킨, 마가린, 참치통조림 등의 제품으로 엄청나게 소비되고 있지요. 그럼 왜 우리는 GMO 제품이 들어갔는지 알기 어려운 걸까요?
우리는 왜 GMO 농산물이 포함되어 있는지 알 수 없을까? |
GMO 표시제가 있지만, 가공식품 중 GMO 농산물 표시를 면제받는 경우가 많아요.
상품 성분 표시에 GMO 농산물이라는 걸 표시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공식품 중 GMO 농산물 표시를 면제받기 때문이지요. 예시로 콩기름의 경우, 제조과정에서 콩의 안전성을 걱정하는 외래 유전자와 단백질이 식용류는 기름이니까 제조과정 중 단백질이 파괴되겠지요? 걱정하는 단백질이 없어졌으니 GMO 표시를 면제한다는 겁니다.
마트에서 식용유 제품 라벨을 자세히 살펴보면 '국내에서 직접 만든 콩기름'으로 광고합니다. 언듯보면 국내산 콩으로 인식하기 쉽지요. 그런데 뒤에 상품 성분을 살펴보면 '콩 100% (수입산)'이라고 아주 작게 표기되어 있습니다. GMO라고 표기를 안 해도 됩니다. 우리나라는...
가축의 사료로 사용되는 옥수수도 거의 전부가 GMO 제품입니다. 99%이니까요.
그렇지만 GMO 제품을 먹은 가축이 우리 소비자에게 판매될 때에는 어떤 표시도 없습니다. 결국 우리는 GMO를 먹는 셈이지요.
GMO 섭취를 막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 |
GMO 표시가 되지 않거나, 그걸 먹고 자란 가축은 확인도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GMO 제품을 먹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현재 우리나라에 GMO 제품이 얼마나 수입되고, 어떤 종류인지 정확한 현황을 파악해야 합니다. 또 어떤 가공식품에 들어가는지, 우리나라 GMO 개발은 어느정도인지도 꾸준한 관심이 필요하고요.
유럽연합처럼 GMO 완전 표시제를 도입해야 합니다. 또한 비유전자 조작 식품일 경우 이를 상품에 표시해서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GMO 완전 표시제가 시행되려면 우리가 꾸준히 관심갖고, 끈질기게 요구해야 합니다.
제가 쓴 GMO(LMO)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https://i-soso-u.tistory.com/33
유전자 조작 생물체(매체는 '유전자 변형 생물체'라고 표현)는 안전할까요?
며칠 전 쥬키니 호박(돼지 호박)이 미승인 유전자 변형 생물체 종자를 사용한 제품이라서 전량 회수한다는 뉴스가 나왔습니다. 그리고 다시 주키니 호박을 출하한다고도 매체에서 보도했고요.
i-soso-u.tistory.com
https://i-soso-u.tistory.com/34
역시 '한살림', 가공품에서 미승인 유전자 변형 'GMO(LMO)' 성분 직접 찾아낸 생협
얼마전 미승인 유전자 변형 쥬니키호박(돼지호박) 판매로 먹거리에 대한 불안이 커졌습니다. 정부(식품의약품안정처(식약처))는 가공품에는 사용되지 않았다고 했지만, 생협(한살림) 자체에서
i-soso-u.tistory.com
참고할만한 사이트입니다.
NON GMO란 무엇입니까?
https://www.nonegmo.com/ko/non-gmo/non-gmo-nedir/
비 GMO | 공식인증기관
우리는 GMO 없는 세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NON-GMO 인증 위원회는 전 세계적으로 GMO를 통제하고 제한할 수 있도록 미래 세대를 안심시킵니다.
www.nonegmo.com
http://www.foodsafetykorea.go.kr/portal/healthyfoodlife/examState.do
식품안전나라
선택하세요 2mepsps 2mepsps, bar 2mepsps, bar, cry2Ab2, uidA 2mepsps, cry1Ab, cry2Ae, vip3Aa19, aph4 2mepsps, cry1Ac, cry2Ab2, bar 2mepsps, hppdPf W336 ATPE-2, npt I BEK(branching glycosyltransferase) FAD2, FADB Riboflavin Operon aad-1 aad-1, cp4 epsps
www.foodsafetykorea.go.kr
'시사,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시 '한살림', 가공품에서 미승인 유전자 변형 'GMO(LMO)' 성분 직접 찾아낸 생협 (17) | 2023.04.11 |
---|---|
유전자 조작 생물체(매체는 '유전자 변형 생물체'라고 표현)는 안전할까요? (20) | 2023.04.10 |
미세 플라스틱이 왜 위험할까? (40) | 2023.03.27 |
황사, 미세먼지가 심한 이유는 무엇일까? (39) | 2023.03.22 |
전 대통령 전두환의 손자 전우원씨와 관련한 기사를 접하고... (22) | 2023.03.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