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이슈

유전자 조작 생물체(매체는 '유전자 변형 생물체'라고 표현)는 안전할까요?

나와봄 2023. 4. 10. 16:21
728x90

며칠 전 쥬키니 호박(돼지 호박)이 미승인 유전자 변형 생물체 종자를 사용한 제품이라서 전량 회수한다는 뉴스가 나왔습니다. 그리고 다시 주키니 호박을 출하한다고도 매체에서 보도했고요.

그럼 도대체 무엇이 문제이고, 왜 소비자는 유전자 조작 생물체를 거부하는 걸까요?

그리고 각종 매체에서는 유전자 변형 생물체라고 하는데, 저는 왜 유전자 조작 식품이라고 할까요?


※ 위해식품판매차단시스템 가동

 

오늘(4/10) 식품 안정청에 의하면 미승인 유전자 변형 생물체 종자인 쥬키니호박이 들어간 일부 냉동 볶음밥, 만두 등 간편 조리식품도 회수, 폐기 조치에 들어간다는 내용이 실렸습니다.

 

주키니 호박을 원료로 사용한 가공식품에 대한 조사과정에서 추가 수거한 제품들을 검사한 결과, 13개 제품에서 미승인 호박 유전자가 검출되어 위해식품판매차단시스템(계산대에서 바코드 인식 시, 판매 중단된 제품을 차단하는 시스템)을 통해 즉시 판매를 차단하고 관할기관에서 회수하고 폐기한다고 합니다.

식약처는 4월 중순까지 마무리할 계획이었던 주키니호박을 원료로 사용한 가공식품에 대한 조사를 이번 주까지 마무리할 예정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상 식약처 보도자료 인용)

 

미승인 유전저 변형 쥬키니호박(돼지호박)이 들어간 13개 제품입니다.

사진출처 : 식약청 (식품 유형 : 소스 / 제조업체 : 현대그린푸드 스마트푸드센터)
사진출처 : 식약청 (식품 유형 : 즉석조리 식품 / 제조업체 : 현대그린푸드 스마트푸드센터)
사진출처 : 식약청 (식품 유형 : 즉석조리 식품 / 제조업체 : 현대그린푸드 스마트푸드센터)
사진출처 : 식약청 (식품 유형 : 간편조리 세트 / 제조업체 : (주)프레시지)
사진출처 : 식약청 (식품 유형 : 즉석조리 식품 / 제조업체 : ㈜신세계푸드 음성공장)
사진출처 : 식약청 (식품 유형 : 즉석조리 식품 / 제조업체 : 농업회사법인(주) 한우물)

 

사진출처 : 식약청 (식품 유형 : 즉석조리 식품 / 제조업체 : 농업회사법인(주) 한우물)

이 외에도 식약청 사이트에 가면 회수,판매중지 상품이 확인 가능합니다.

그럼

왜 미승인 유전자 변형 쥬키니 호박이 문제일까요?

간혹 중국산이라고 오해하시는 분도 계십니다. 그러나 재료 표기를 보면 국산입니다.

우리나라는 유전자 변형 식품을 상업 목적으로 재배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버젓이 생산되어 판매되었지요. 그래서 농림축산식품부에서 해당 종자 판매를 금지했습니다.

위 식품 제조업체 또한 소비자와 같이 피해자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관련 제품을 올릴지 많은 고민을 했습니다. 결국 소비자의 알 권리가 먼저라고 판단했습니다. 사실 생협인 한살림 제품이 포함되어서 충격이었습니다. 유전자 조작 생물체의 판매는 법적으로 불허이므로 그들도 피해자일 수 있다는 점 다시 한 번 말씀드립니다.

 

한살림은 소비자를 위한 대단한 일을 했습니다. (추후 올림- 꼭! 아래 링크 글을 읽어주세요.) 광고가 아닙니다.

https://i-soso-u.tistory.com/34

 

역시 '한살림', 가공품에서 미승인 유전자 변형 'GMO(LMO)' 성분 직접 찾아낸 생협

얼마전 미승인 유전자 변형 쥬니키호박(돼지호박) 판매로 먹거리에 대한 불안이 커졌습니다. 정부(식품의약품안정처(식약처))는 가공품에는 사용되지 않았다고 했지만, 생협(한살림) 자체에서

i-soso-u.tistory.com


※ 승인 유전자 조작 생물체(매체는 '유전자 변형 생물체'라고 표현함)는 안전할까요?

 

유전자 조작 생물체(식품)은 모두 위험합니다.

유전자는 부모가 자손에게 특성을 물려주는 현상인 유전을 일으키는 기본 단위입니다. 즉, 생물체의 고유한 특성에 관한 정보를 담아 다음 세대에 전달하는 물질이지요.

전통적인 육종 기술로 만든 품종은 안전합니다!
같은 종이거나 가까운 종끼리 여러 세대에 걸려 교배하는 방식으로 더 뛰어난 형질을 가진 품종으로 개량된 것입니다.

씨없는 수박, 방울토마토, 호박고구마

유전자 조작 식품(GMO(LMO))은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생물체의 한 종에서 얻은 유전자를 다른 종에 집어넣어 새로운 유전자를 가진 종을 생산하기 위해서이지요. 자연적으로 교배 불가한 생물 종의 유전자를 이용하는 겁니다. 후손 중에서 원하는 형질을 지닌 개체를 골라 다시 교배하는 과정을 거치려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데, GMO(LMO)는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듭니다.

GMO(LMO)는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GMO(LMO) 작물의 종류 중  라운드업 레디(Roundup-Ready) 작물이 가장 많이 생산되고, 우리나라가 수입하는 대부분의 GMO(LM0)가 해당합니다. 

그렇다면 라운드업 레디는 무엇일까요?
몬산토 회사가 개발한 '라운드업'이라는 제초제를 뿌려도 죽지 않는 작물을 말합니다.

라운드업 제초제의 주성분은 '글리포세이트'입니다.

'플리포세이트'를 세계보건기구는 '국제 암연구소 2급 발암물질'로 판정했습니다. 다른 성분과 섞여 작물의 세포까지 흡수된 글리포세이트는 씻거나 얼리거나 가열해도 분해가 되지 않습니다. 인체에 계속 쌓인 글리포세이트는 치매, 자폐, 비만, 아토피 등을 유발합니다. (미국 과학자 '낸시 스완스'가 발표한 논문 - 현대인이 앓는 대표적인 질환 22가지를 추세를 통해 비교 분석한 내용) 

한국은 유전자 조작 식품(GMO(LMO)) 수입 1위 국가입니다. 자폐 1위 국가이기도 하지요. 이 둘의 연결고리는 없을까요?

한국에서 판매되는 식용유의 원료는 대부분 콩과 옥수수, 카놀라(유채꽃에서 나오는 유채씨)입니다. 수입된 GMO(LMO)로 대부분 생산하는데, 수입된 GMO 콩과 옥수수에 글리포세이트가 많이 들어있습니다.

참고로 2014년 한국 '콩' 자급율은 11.3%, '옥수수'는 0.8%밖에 되지 않습니다. 국내에서 사료로 사용되는 옥수수는 99%가 GMO(LMO)입니다.

 

프랑스 칸대학 질레 에릭 세라리니 교수 연구팀이  몬산토 회사 GMO 옥수수를 먹인 쥐들에게서 간과 신장의 심각한 손상과 유방종양과 같은 호르몬 교란이 일어났다고('GMO 연구 결과') 2013년 과학저널에 발표함.

세라리니 교수팀의 연구에서

제초제가 뿌려진 옥수수와 뿌려지지 않은 옥수수를 나누어 실험했는데, 연구 결과 제초제를 흡수하지 않은 옥수수가 종양을 일으켰습니다. 이는 옥수수 자체의 변형(조작)된 유전자가 질병을 일으킨다는 증명이지요. 유전자 조작 식품의 변질된 단백질과 라운드업이 신체에 일으키는 현상을 분리해 도출해낸 결과입니다. 

 

몬산토사의  GMO 옥수수를 먹인 쥐들에게서 내분비 교란으로 여러가지 질환을 앓음을 발표한 세라리니 교수의 논문은 미국의 저널 '식품과 화학독성학'에 게재되었습니다. 그러나 몬산토 연구원이 이 저널의 편집위원으로 들어간 후, 납득할만한 이유 없이 이 논문을 철회했습니다. 대 기업의 힘이 도처에 뻗히고 있다는 반증이지요.

 


※ 매체에서는 유전자 변형 생물체라고 하는데, 저는 왜 유전자 조작 생물체(식품)라고 할까요?

 

처지에 따라 다르게 표현한 겁니다.'유전자 변형 생물체'와 '유전자 조작 식품', 두 가지 말 중 어느게 더 부정적인가요?제가 표현한 게 훨씬 부정적이고 삐딱하게 들리시지요.   하지만 둘 다 같은 의미입니다.'유전자 조작 식품'은  GMO(LMO) 제품에 부정적인 시선, 인체에 안전하지 않으니 가급적 피하라는 입장입니다.

 


 

※ 우리 정부도 GMO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2015년 9월 농업진흥청이 국산 GMO 벼와 고추의 재배 허가를 받기 위해 신청한 적이 있습니다.  매일 먹는 쌀(밥), 김치에 들어가는 양념(고춧가루)도 GMO로 재배되기를 원하시나요?

우리나라는 GMO와 관련된 동물실험을 유럽 기준보다 훨씬 짧은 기간 실험합니다. 유럽이 90일 동물실험하는 것도 소비자의 건강을 보호하기에는 터무니없게 짧다고 하는데, 우리는 그보다 훨씬 짧은 14일 간 동물실험을 합니다. 과연 안정성 여부를 따질 수 있는 기간일까요? 우리가 평생 먹고 살아야 할 음식인데요. 여러분은 이 사실을 알고 계시나요?

 

아래 내용은 이젠에 올린 관련자료입니다.

https://i-soso-u.tistory.com/28

 

오늘도 유전자 조작 식품(GMO(LMO)), 얼마나 드셨나요?

얼마전, 돼지호박(주키니 호박)을 다시 회수하는 일이 일어났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승인받지 않은 유전자 변형생물체(Living Modified Organism (LMO)) 종자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애호박이

i-soso-u.tistory.com

 


세계 3위의 '콩' 수출국인 아르헨티나!

그중 차코 주의 농경지 90% 이상이 '콩'을 재배합니다.

이곳에서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요?

 

GMO의 희생양이 된 '아르헨티나 차코' 지역에 관한 영상자료입니다.

끔찍한 장면이 포함되어 있어요. 그만큼 GMO는 인체에 치명적입니다.

 

영상 : '서프라이즈' 온몸이 점과 털로 뒤덮힌 소녀, 마을에 이상한 일이 일어나고 있다. (12'26")

 

https://www.youtube.com/watch?v=m92uyYpL72w